Playlist

반응형

 

KTX는 운행 구간도 많고 운행하는 열차 종류도 다양합니다. 코레일톡이나 레츠코레일에서 예매할 때마다 KTX와 KTX-산천, KTX-이음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.


 

먼저 KTX 중에서 운행 구간으로 분리해 보면, KTX와 KTX-산천이 다니는 구간, KTX-이음이 다니는 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. KTX-이음은 강릉선, 중앙선, 중부내륙선에서 다니고 있고, KTX와 KTX-산천은 서울에서 부산, 용산에서 목포 등 그 외 나머지 구간에서 다니고 있습니다.

 

 KTX

 

KTX가 처음 개통된 시기는 2004년인데요. 기차표를 예매할 때, KTX라고 표시되어 있는 열차들은 이때부터 운행을 시작한 열차를 의미합니다. 20량 1 편성에 객실은 1호차부터 18호차까지 있는 아주 긴 열차입니다. 2호차에서부터 4호차는 특실이고 나머지는 일반실로 운행되고 있습니다.

 

일반실 중 5호차만 유일하게 순방향이고, 나머지 일반실은 절반은 순방향, 절반은 역방향으로 되어 있습니다. 특히 8번과 9번 좌석은 4명이 마주보고 앉아 가는 4인 동반석입니다.

 

 

KTX 일반실 중 역방향 좌석이 없고 좌석간격도 조금 더 넓고, 좌석 회전도 가능한 객실이 5호차입니다. 원래 5호차는 특실로 운영되다가 일반실로 개조한 객실입니다. 그래서 4호차 방향은 특실 좌석 배치에 맞게 출입문이 설치되어 있고, 5호차 1A석은 1인석으로 갈 수 있습니다.

 

2호차에서 4호차까지는 특실로 운영되고 있습니다. 한 쪽은 1인석, 다른 한쪽은 2인석이 설치되어 있고, 특실인 만큼 확실히 좌석 간격이 넓다는 특징이 있습니다. 특실에서는 생수와 다과 서비스가 제공되기도 합니다.

 

KTX의 콘센트와 USB 포트는 좌석과 좌석 사이 창쪽에 설치되어 있습니다.

 

KTX-산천

KTX-산천은 일반실의 좌석 간격을 더 넓히고 순방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전체적인 객실 분위기 역시 기존 KTX보다 더 밝아졌습니다. 10량 1 편성에 객실은 1호차부터 8호차까지 운행하기 때문에 KTX보다 좌석 수는 훨씬 적습니다. 그래서 KTX-산천은 두 대의 열차를 하나로 붙여 복합 열차로 운행하는 경우가 많고, 이런 복합 열차는 여수행과 목포행, 포항행과 부산행 등 행선지가 다르기 때문에 호남선 쪽은 익산역에서 경부선 쪽은 동대구역에서 두 대의 열차를 분리하여 운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

 

KTX-산천은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. 2010년부터 운행하기 시작한 A타입 열차와 2017년부터 운행하기 시작한 B타입 열차입니다. 두 열차의 겉모습은 비슷하지만 객실 분위기가 조금 다른데요. PC에서 예매할 때는 A타입과 B타입이 구분되지만 코레일톡 예매 시에는 똑같이 KTX-산천으로만 나와서 구분이 어려운데요.

 

모바일로 예매시에는 4호차 혹은 14호차 가운데가 네 명이 마주 보는 4인 동반석이면 A타입, 모두 순방향 좌석이면 B타입 열차입니다. KTX-산천 A타입의 경우, 좌석 아래에 콘센트와 USB포트가 설치되어 있고, B타입은 좌석 앞과 아래에 콘센트가 하나씩 총 두 개가 설치되어 있습니다.

 

KTX-이음

 

가장 최근에 도입된 KTX는 KTX-이음입니다. 2021년부터 운행을 시작했고, 동력분산식 고속열차라는 차이점이 있습니다. 또한, 개별 창문이 적용되었고 좌석마다 콘센트, USB포트, 휴대전화 무선 충전기까지 설치되어 있는 등 편의시설 측면에서 많은 개선이 이루어진 열차입니다. 6량 1 편성으로 운행되고 있으며, 특실 대신에 1호차에 우등실이 설치되어 있습니다. 좌석 배열은 일반실과 똑같이 2인석, 2인석으로 설치되어 있고, 좌석간격이 일반실보다 더 넓다는 특징이 있습니다.

 

우등실의 다른 차이점은 좌석 앞에 모니터가 하나씩 설치되어 있다는 것입니다. KTX 특실은 일반실 운임의 40%의 추가 운임이 붙지만, KTX-이음의 우등실은 일반실 운임의 20%의 추가 운임만 붙습니다.

 

현재 KTX-이음의 운행 구간은 서울역에서 강릉역, 서울역에서 동해역 구간, 청량리역에서 안동역 구간, 부발역에서 충주역 구간만 운행하고 있습니다. 

반응형

공유하기

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
loading